환경부 차관, 유엔사무총장 기후특보와 기후위기 해법 모색

파리협정 이행 및 탈탄소 녹색전환을 위한 유엔-환경부 간 공조 방안 모색

김덕수 기자
2025-08-27 12:44:18




환경부(사진=PEDIEN)



[한국Q뉴스] 환경부는 8월 27일 오후 국회 인근 회의실에서 금한승 환경부 차관과 셀윈 하트 유엔사무총장 기후행동 특보가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준비 현황을 포함한 기후위기 해법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금한승 차관과 셀윈 하트 특보는 과거 금 차관 주유엔대표부 근무 시절 ‘2014 유엔 기후 정상회의’를 준비하며 인연을 맺은 바 있다.

양측은 이후로도 전 지구적 기후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활동을 지속하다, 셀윈 하트 특보의 방한 일정을 계기로 다시 만나게 됐다.

양측은 기후위기 대응의 긴급성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시대적 과제이자 경제성장의 핵심 전략으로서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전환과 전 지구적 기후위기 대응 및 에너지 전환에 기여할 수 있는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특히 금한승 차관은 환경부가 단지 도전적인 목표를 제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현 가능한 이행 경로를 고려함으로써 책임 있는 약속을 마련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다.

또한, 지난해 헌법재판소의 결정 취지를 고려해 미래에 과도한 부담을 이전하지 않는 방향으로 목표를 설정하고자 하며 나아가 2050 탄소중립이라는 국가 비전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우리나라가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할 계획이다.

이에 셀윈 하트 특보는 우리나라의 책임 있는 접근과 미래세대를 고려한 정책 방향을 평가하고 오는 11월 브라질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보다 이른 시기에 우리 정부의 기후·에너지 정책 우선순위를 반영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출해줄 것을 요청할 예정이다.

금 차관은 우리 정부의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과 전 분야 전기화 및 탈탄소화를 통한 녹색 대전환 의지를 강조하고 △분산형 ‘재생에너지 100% 사용’ 산업단지 조성, △가파도 탄소중립섬과 같은 마을 단위 에너지자립 시범사업, △전기차·배터리·히트펌프 등 기후 신산업 육성 및 산업 탈탄소 전환 지원계획도 소개할 계획이다.

이에 유엔측은 우리나라의 선도적 정책 노력에 감사의 뜻을 표하고 지난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 시 합의한 2030년까지 전세계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 3배, 에너지 효율 2배 향상 목표에 함께 노력해줄 것을 요청할 예정이다.

이번 면담을 통해 환경부와 유엔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국제적 연대가 중요함을 재확인하며 탈탄소 녹색전환을 위한 의지를 함께 다진다.

금한승 환경부 차관은 “기후위기야 말로 인류사회가 직면한 실존적 위기”며 “앞으로도 유엔 등 국제사회와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며 대한민국이 탈탄소 녹색문명의 중심 국가로 도약하는 데 선도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